

28일 전·현직 판검사들에 따르면 주요 쟁점에 대한 항소심 판단이 다르기 때문에 29일 선고로 모든 판단이 확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어 파기환송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.
앞서 박 전 대통령과 이 부회장 항소심에선 제3자 뇌물 혐의에 대한 판단이 엇갈렸다. 제3자 뇌물 혐의에선 `부정한 청탁` 존재 여부가 쟁점이다. 이 부회장이 박 전 대통령에게 부정하게 청탁할 만한 현안이 있었는지를 놓고 항소심 판단이 달랐다. 항소심 판결들에 따르면 최씨가 소유·운영한 동계스포츠영재센터에 삼성이 16억여 원을 지원한 것을 뇌물로 판단하려면 부정 청탁이 있었다는 점이 인정돼야 한다. 박 전 대통령 재판부는 "지원 요구가 특정됐고, 삼성도 이를 알면서 지원했다"며 묵시적 청탁이 있었다고 봤다. 그러나 이 부회장 재판부는 "명시적·묵시적 청탁을 했다는 증거가 없다"며 다른 결론을 내렸다. 이 부회장이 최씨 딸 정유라 씨에게 제공했던 말 세 마리를 뇌물로 인정할지도 관심사다.
동계스포츠영재센터 지원금과 말 세 마리에 대한 전합 판단에 따라 뇌물 금액은 `최대 89억원`까지 늘어날 수 있다. 이 부회장은 뇌물-횡령 혐의가 연결되기 때문에 두 혐의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이 이뤄지면 횡령액이 50억원을 넘긴다. 이럴 경우 징역 5년 이상(권고형 4~7년)이 선고될 가능성이 높아져 집행유예 여부가 주목받게 된다.
최근에는 전합 파기 사유로 `하급심 재판부가 공직선거법을 고려하지 못했다`는 점도 지적된다. 최근 법률신문 등에 따르면 뇌물 인정 여부와는 상관없이 공직선거법 조항으로 인해 파기환송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한다. 파기될 경우 박 전 대통령의 양형은 뇌물과 직권남용·강요 등으로 분리될 것으로 보인다.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는 직권남용·강요 혐의와 분리 선고돼야 한다. 하지만 서울고법 형사4부(당시 부장판사 김문석)가 이를 어기고 박 전 대통령의 뇌물 혐의와 직권남용·강요 등 혐의를 하나로 보고 징역 25년, 벌금 200억원을 선고했다.
공직선거법 제18조 3항은 "대통령·국회의원·지방의회의원·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 재임 중 직무와 관련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죄의 가중처벌(제2조)과 형법상 수뢰 및 사전수뢰(제129조), 알선수뢰(제132조) 등에 규정된 죄와 다른 죄의 경합범에 대해선 분리 선고한다"고 규정한다.
[성승훈 기자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2019-08-28 08:44:51Z
https://www.mk.co.kr/news/society/view/2019/08/673824/
다음 읽기 >>>>
Bagikan Berita Ini
0 Response to "`국정농단 결말` 미뤄지나…대법, 파기환송 가능성 - 매일경제"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