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28일 정부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·부품 분야 연구개발(R&D)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발표했다.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된 `소재·부품·장비 R&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`은 부품·소재 분야 100여 개를 `핵심품목`으로 지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내년부터 3년간 5조원의 예산을 투자한다는 것이 골자다. 부품·소재 분야에서 취약한 `100개+α` 리스트를 확보한 뒤 각 수준에 맞는 R&D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다. 핵심 품목 분야에는 올해 1조원을 시작으로 예산이 투입된다. 그러나 이번에도 공허한 메아리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`기술 개발→판로 확대→기술 축적`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잇는 작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. 중소·벤처기업의 정부 R&D 과제 성공률은 96%에 달하지만 이를 실제 제품으로 연결하는 사업화 실적은 46%에 불과하다.

심승일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은 "단기 성과에 급급한 생태계 구조가 국산화를 가로막는 장애 요인"이라며 "정부가 소재·부품산업 육성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R&D 투자와 규제 개선, 판로 확보 등을 한꺼번에 지원할 필요가 있다"고 말했다.
이와 관련해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"대학과 출연연, 중소·중견기업, 대기업 간 부품·소재 R&D의 끊어진 생태계를 연결하기 위해 기초·원천 R&D 기획에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할 계획"이라고 밝혔다. 그는 특히 "수요 기업(대기업)이 먼저 제안한 부품·소재 품목의 경우 중소기업이 해당 R&D를 진행할 때 기존에는 정부가 최대 2년 10억원을 지원했는데 내년부터 3년간 24억원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대폭 확대해 나가겠다"고 덧붙였다.
대책안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소속으로 핵심 품목을 관리하는 민관 공동의 `소재·부품·장비 기술 특별위원회`를 설치하고 시급한 품목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, 과제 신속 추진을 위한 제도화 등을 통해 R&D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.
한 중소기업 대표는 "예산 쪼개기나 단기적 성과에 급급하다 보니 기술 난도가 낮은 범용제품 위주로 국산화가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"며 "강소기업 100곳을 키우는 것보다 1~2개 품목이라도 장기간 기술 개발을 요하는 핵심 소재·부품에 집중해야 진입장벽이 높은 일본 기업과 경쟁이 될 수 있을 것"이라고 지적했다.
[원호섭 기자 / 안병준 기자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2019-08-28 08:53:08Z
https://www.mk.co.kr/news/it/view/2019/08/673861/
다음 읽기 >>>>
Bagikan Berita Ini
0 Response to "소재·부품 독자기술로 개발해도 상용화 안되는 한국 - 매일경제"
Post a Comment